[부동산]

#16. 현재 아파트 미분양에 따른 예상되는 부작용.

소안-유리엘 2023. 4. 17. 09:40

 

현재 대한민국의 시장에 많은 수의 미분양 아파트로 인해 한국의 부동산 붕괴 가능성에 대해 살짝 얘기해보려 합니다.

2023 3월 현재 국내 미분양 아파트가 83000채 이상이라는 한국감정원 자료가 있습니다..

 

아파트 공급 과잉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최근 몇 년간 주택 공급을 늘리려는 정부의 노력입니다. 정부는 저렴한 주택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 규제 완화, 개발자 인센티브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서울, 부산, 인천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과잉으로 이어지고 있다.

 

아파트 공급 과잉이 주택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됩니다. 건설사들은 미분양 재고를 판매하기 위해 가격을 낮춰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차례로 부동산 붕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청약으로 이미 들어가 있거나 분양을 받고 있는 기 분양자들이 낸 금액보다 싼 가격으로 부동산을 내놓게 된다면, 공급 이상현상이 불러오기도 하며, 기존 분양자들의 반대로 미 분양분에 대한 가격인하가 되지 않는다면, 건설사들은 악성재고를 안고 가는 현상에 직면하게 될지도 모른다.

 

또한 금리 상승이 부동산 시장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강조합니다. 최근 한국은행은 인플레이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또는 미국 기준금리에 맞춰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이자율이 높아지면 주택 소유자가 모기지를 상환하기가 더 어려워져 채무 불이행 및 압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 금리는 미국 금리와 1%이상으로 벌어지더라도 금리를 급격하게(0.5%~1%) 올리지는 못할 것이 분명하다. 윗줄에서 얘기한 것 처럼 금리 인상에 따라 부동산으로 대출을 받고 이자를 내던 서민들의 가정경제가 무너질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잠재적인 부동산 붕괴가 한국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들을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부동산은 국가 G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조금씩 시작되는 시장 붕괴는 더 광범위한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한국의 아파트 공급 과잉이 특히 주택 가격이 떨어지고 금리가 상승할 경우 향후 부동산 붕괴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정부가 저렴한 주택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는 동안 정책 입안자들은 잠재적인 붕괴와 더 광범위한 경제적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